앵커가 직접 고른 뉴스, 앵커픽입니다. <br /> <br />1. 서울신문 <br /> <br />새해가 되면서 다들 한 살 먹었다고 얘기들 하죠. 그런데 태어난 지 하루밖에 되지 않았는데 나이를 먹는다면 좀 억울하지 않을까요? 우리만의 나이 셈법, 서울신문이 다뤘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인이 유독 나이 계산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태어나자마자 1살로 세고, 해가 바뀌면 한 살이 추가되는 방식인 이른바 '코리안 에이지' 때문인데요, 신문이 예로 든 사례를 살펴볼까요? <br /> <br />1991년 1월생의 경우, 한국식 나이로 계산하면 29세인데요, '빠른 년생'이라는 우리 사회만의 독특한 문화 때문에 1990년생과 함께 학창 시절을 보낸 탓에 사회적 나이는 30세가 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법적으로는 또 다릅니다. 병역법과 청소년보호법에 적용되는 연 나이로는 28세, 민법·형법 또는 관공서나 병원에서 쓰는 만 나이로는 27세입니다. <br /> <br />복잡하죠? 특히 요즘 같은 글로벌 시대에 외국인들과 나이 얘기를 하다 보면 이런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는데요, 그래서 한국식 나이를 폐지하고, 만 나이로 나이 셈법을 통일하자는 목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. 서울경제 <br /> <br />해마다 2월은 졸업식, 3월은 입학식 시즌인데 올해는 좀 다릅니다. 올해 서울 지역 중학교의 절반 이상이 졸업식을 1월로 대폭 앞당겨 진행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 지역에서 12월 또는 1월에 졸업식을 진행하는 학교는 초등학교 11곳, 중학교 147곳, 고등학교 74곳입니다. 지난해보다 최소 수십 배 이상 늘어났는데 서울뿐 아니라 경기, 인천, 제주 등 전국 대부분 학교에서 비슷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월 졸업식은 학생들을 조기에 졸업시키고 다음 학기를 위한 시설 공사 등 학교 관리를 하기 위해서, 또 현실적으로 상급학교 진학이나 사회 진출을 앞둔 학생들이 사실상 마지막 겨울방학 때는 관리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학교들이 지나치게 편의에만 치우쳐 학사일정을 잡다 보니 최대 두 달여간 관리 공백이 생기면서 안전사고와 학생 일탈 등에 학생을 무방비로 노출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고 서울경제가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3. 조선일보 <br /> <br />차량 공유 서비스인 '카풀'과 승합차 호출 서비스인 '타다'가 인기를 끌면서 택시 기사들이 물건을 배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기사들은 카풀 때문에 손님은 줄어 사납금을 채우려면 사람 대신 물건이라도 태워야 한다고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10309542392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